728x90
반응형
시스템 모듈화의 장단점
✅ 장점
- 유지보수 용이성
- 시스템을 여러 모듈로 분리하면 특정 부분만 수정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워짐.
- 개발 생산성 향상
- 여러 팀이 동시에 다른 모듈을 개발할 수 있어 병렬 개발이 가능함.
- 가독성 및 이해도 향상
- 코드가 분리되어 있어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고, 특정 모듈의 역할이 명확해짐.
- 재사용성 증가
- 잘 설계된 모듈은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재사용 가능하여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
- 디버깅 및 테스트 용이
- 개별 모듈 단위로 테스트가 가능하여 버그를 찾고 수정하는 과정이 쉬워짐.
- 유연성 및 확장성 증가
-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영향을 받는 범위가 제한됨.
- 리팩토링 용이
- 전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특정 모듈을 개선할 수 있어 시스템 최적화가 쉬움.
❌ 단점
- 복잡성 증가
- 너무 세분화하면 모듈 간의 의존성이 복잡해지고 관리하기 어려워질 수 있음.
- 성능 저하 가능성
- 모듈 간 통신(예: API 호출, 인터페이스 사용)이 많아질수록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음.
- 초기 설계 비용 증가
- 적절한 모듈 분리를 위한 설계 과정이 복잡하며,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필요함.
- 배포 및 통합의 어려움
-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을 배포할 경우, 버전 관리와 의존성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음.
- 모듈 간 인터페이스 설계 부담
- 각 모듈이 어떻게 상호작용할지를 정의하는 과정이 어렵고, 잘못 설계되면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유지보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
결론
시스템 모듈화는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큰 장점이 있지만,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복잡성과 성능 저하 문제를 고려해야 함.
적절한 수준에서 모듈화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 🚀
728x90
반응형
'쪼꼬만 노트 > 네트웍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란? (0) | 2025.03.19 |
---|---|
데이터 전송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0) | 2025.03.19 |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사항 (0) | 2025.03.19 |
웹사이트에 접속이 안 된다고요? OSI 7계층으로 문제 해결하기 (0) | 2025.03.12 |
DNS(Domain Name System Service)서비스란 무엇인가?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