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꼬만 노트/네트웍 시스템

라우팅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공부하기

jet132 2025. 5. 14. 09:53
728x90
반응형

라우팅
라우팅이란?

 

라우팅(Ro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라우팅은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특히 인터넷과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라우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체계적인 정리입니다.


1. 라우팅의 기본 개념

용어 설명

라우터(Router) 네트워크 간에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라우팅 테이블 목적지 IP에 따라 어떤 경로로 패킷을 전달할지 결정하는 테이블
호스트 라우팅 특정 호스트에 대한 경로 지정
네트워크 라우팅 전체 네트워크 범위에 대한 경로 지정

2. 라우팅 방식의 분류

2.1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를 설정
  • 장점: 단순하고 보안성이 높음
  • 단점: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관리가 복잡

2.2 동적 라우팅 (Dynamic Routing)

  •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경로를 자동으로 학습
  • 장점: 네트워크 변화에 유연
  • 단점: CPU 및 메모리 사용량 증가

3. 주요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토콜 유형 사용 범위 특징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Distance Vector 소규모 네트워크 홉 수 기반, 최대 15 홉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Link State 중~대규모 네트워크 Dijkstra 알고리즘 사용, 빠른 수렴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Hybrid Cisco 전용 고급 Metric 사용
BGP (Border Gateway Protocol) Path Vector 인터넷 백본 정책 기반 라우팅, AS 간 경로 설정

4. 라우팅 결정 기준 (Metric)

라우팅 프로토콜은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경로를 판단할 때 Metric을 사용합니다.

Metric 요소 설명

홉 수 (Hop Count) 거치는 라우터 수
대역폭 (Bandwidth) 가능한 최대 속도
지연 시간 (Delay) 패킷 전송에 걸리는 시간
비용 (Cost) 특정 네트워크 경로의 추상적 비용
신뢰도 (Reliability) 링크 안정성

5. 라우팅 테이블 구성 예시

Destination     Gateway         Interface       Metric
192.168.10.0    0.0.0.0         eth0            1
0.0.0.0         192.168.10.1    eth0            10   (기본 경로)
10.0.0.0        192.168.10.2    eth1            5

6. 고급 주제

6.1 정책 기반 라우팅 (Policy-Based Routing, PBR)

  • 트래픽의 특성(예: IP 주소, 포트 번호)에 따라 경로를 다르게 설정

6.2 ECMP (Equal-Cost Multi-Path)

  • 동일한 Metric을 가진 다중 경로를 동시에 사용

6.3 라우팅 루프 방지

  • RIP: Split Horizon, Poison Reverse
  • OSPF: LSA Age, Sequence Number
  • BGP: AS Path

7. 라우팅과 포워딩의 차이

라우팅 포워딩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
제어 평면(Control Plane) 데이터 평면(Data Plane)
라우팅 프로토콜 필요 라우팅 테이블 사용

8. 라우팅과 NAT

라우팅은 내부 네트워크 간 경로를 결정하지만, 외부 인터넷과의 연결 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과 함께 사용됩니다.


9. 실무에서의 활용 예

  •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BGP 라우팅을 통해 인터넷 경로 설정
  • 기업 네트워크: OSPF/EIGRP로 내부 네트워크 구성
  • 클라우드 네트워크: 정적 라우팅과 Virtual Router 사용

10. 추천 학습 순서

  1. TCP/IP 4계층 이해
  2. 정적 라우팅 실습 (Cisco Packet Tracer, GNS3)
  3. RIP → OSPF → BGP 학습
  4. 시뮬레이터 또는 실장비로 구성 연습
  5. 인증시험 준비 (CCNA, JNCIA 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