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꼬만 노트/네트웍 시스템
토폴로지(Topology), 즉 네트워크의 연결 구조
jet132
2025. 4. 2. 09:42
728x90
반응형
"버스형"과 "링형"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토폴로지(Topology), 즉 네트워크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아래에 두 구조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 버스형(Bus Topology)
- 구조: 하나의 중앙 케이블(버스)에 모든 노드(컴퓨터, 프린터 등)가 연결됨
- 데이터 흐름: 양방향으로 흘러가지만, 한 번에 하나의 장치만 통신 가능
- 종단 저항 필요: 양 끝에 신호 반사를 방지하는 저항(Terminator)이 있어야 함
- 장점:
- 설치가 간단하고 저렴함
- 짧은 거리에서 효율적
- 단점:
- 버스에 장애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됨
- 트래픽이 많아지면 성능 저하 발생
🔄 링형(Ring Topology)
- 구조: 각 노드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데이터를 순환시킴
- 데이터 흐름: 일반적으로 단방향(혹은 이중 링이면 양방향)
- 토큰 전달 방식(Token passing) 사용: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권한(토큰)을 가진 노드만 전송 가능
- 장점:
- 충돌이 적어 예측 가능한 성능
- 균등한 네트워크 접근
- 단점:
- 하나의 노드나 연결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설치 및 유지보수가 복잡함
요약 비교표
항목 버스형 링형
구조 | 직선형 중앙 케이블 | 원형 연결 |
장애 영향 | 버스 손상 시 전체 마비 | 노드 장애 시 전체 영향 |
비용 | 저렴 | 비교적 고가 |
데이터 흐름 | 양방향 | 일반적으로 단방향 |
충돌 발생 | 가능성 높음 | 거의 없음 |
혹시 이걸 네트워크 과제나 발표용으로 쓰시려는 건가요? 필요하시면 도식화나 요약 슬라이드도 만들어 드릴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