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AC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여러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가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요.
🗂️ OSI 7계층과 MAC 계층의 위치
-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7단계로 나눈 모델이에요.- 예: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등
- 데이터 링크 계층:
이 계층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다리’ 역할을 해요.- MAC 계층(하위 서브레이어):
여러 기기가 공유하는 네트워크에서 누가 언제 데이터를 보낼지 정하는 “교통 통제 시스템”이에요.
- MAC 계층(하위 서브레이어):
🚦 MAC 계층의 주요 역할
- 주소 지정:
각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는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어요.- 예: 🖥️ 각 컴퓨터는 자신만의 “전화번호”와 같아요.
- 전송 제어:
여러 기기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충돌(데이터가 겹쳐짐)**이 발생할 수 있어요.- CSMA/CD (유선 네트워크):
네트워크가 바쁘지 않은지 확인한 후 데이터를 보내고, 만약 충돌이 발생하면 다시 보내요. - CSMA/CA (무선 네트워크):
무선 환경에서는 충돌을 미리 피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준비 신호’를 보내요.
- CSMA/CD (유선 네트워크):
- 프레임 구성 및 전송: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작은 단위로 만들어 전송해요.- 예: 📨 편지를 봉투에 넣어 보내는 것과 비슷해요.
💡 일상생활의 예
- 교통 신호등:
여러 자동차(데이터)가 한 번에 출발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듯, 네트워크에서도 여러 기기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문제가 생겨요.- MAC 계층은 교통 신호등처럼 “누가 언제 출발할지” 정해줘요.
- 전화번호:
각 컴퓨터가 가진 MAC 주소는 전화번호처럼 상대방이 어디로 데이터를 보내야 할지를 알려줘요.
🔍 정리
- MAC 계층은 네트워크의 데이터 링크 계층 안에서 여러 기기가 데이터를 충돌 없이 주고받을 수 있도록 주소 지정과 전송 제어를 담당해요.
-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CSMA/CD,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CSMA/CA 같은 기술을 사용해요.
- 간단히 말해, MAC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누가 언제’ 데이터를 보내는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처럼, MAC 계층은 네트워크 상에서 여러 기기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728x90
반응형
'쪼꼬만 노트 > 네트웍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넷의 모든 것 (0) | 2025.04.09 |
---|---|
LLC 계층(Logical Link Control 계층)에 대하여 (0) | 2025.04.09 |
OSI 7계층, 네트워크의 흐름을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4.02 |
데이터는 왜 엉뚱하게 도착할까? (0) | 2025.04.02 |
토큰 방식(Token Passing)이란?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