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통신 매체 표기 형태"는 주로 **이더넷(Ethernet)**이나 LAN 기술에서 전송 속도, 전송 방식, 사용되는 케이블 종류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이름 규칙을 말해요. IEEE 802.3에서 사용되는 형식을 기준으로 설명해볼게요.
🧾 기본 표기 형태
속도BASE-전송방식
예시: 10BASE-T, 100BASE-TX, 1000BASE-LX, 10GBASE-SR
📦 구성 요소 설명
1. 속도 (Speed)
- 숫자는 Mbps 또는 Gbps 단위의 전송 속도를 나타냄
- 예:
- 10BASE-T → 10 Mbps
- 100BASE-TX → 100 Mbps
- 1000BASE-SX → 1,000 Mbps (1 Gbps)
- 10GBASE-SR → 10 Gbps
2. BASE / BROAD
- BASE = Baseband (기본 대역 전송)
- 대부분의 이더넷은 BASE를 사용
- BROAD = Broadband (광대역 전송, 드물게 사용)
3. 전송 매체 및 방식
- T (Twisted Pair): 꼬임선(UTP, STP 등) 케이블 사용
- TX: 전이중(Full-Duplex) 전송 / Twisted Pair
- SX (Short-wavelength): 광섬유, 짧은 거리 (850nm)
- LX (Long-wavelength): 광섬유, 긴 거리 (1310nm)
- SR / LR / ER / ZR: 고속 광이더넷 (10G 이상)
- SR: Short Range
- LR: Long Range
- ER: Extended Range
- ZR: Zeta Range (아주 먼 거리)
🧪 예시 정리
표기 의미
10BASE-2 | 10 Mbps, 동축 케이블, 200m 범위 |
10BASE-T | 10 Mbps, UTP 케이블 (Twisted Pair) |
100BASE-TX | 100 Mbps, UTP, 전이중 |
1000BASE-LX | 1 Gbps, 광섬유, 장거리 |
10GBASE-SR | 10 Gbps, 광섬유, 짧은 거리 |
10GBASE-T | 10 Gbps, Twisted Pair 케이블 사용 |
🧭 정리
- 이 표기 방식은 전송 속도, 전송 방식, 케이블 종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 속도BASE-매체 형식은 네트워크 설치나 장비 선택 시 매우 중요해요.
- 속도만 보지 말고, 뒤에 나오는 전송 방식과 거리, 매체도 꼭 확인하세요.
728x90
반응형
'쪼꼬만 노트 > 네트웍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MA/CD에서 CD(Collision Detection)란 무엇인가? (0) | 2025.04.09 |
---|---|
🧠 CSMA 신호 감지 기능 (0) | 2025.04.09 |
🧠 CSMA/CD의 모든 것 (0) | 2025.04.09 |
이더넷의 모든 것 (0) | 2025.04.09 |
LLC 계층(Logical Link Control 계층)에 대하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