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쪼꼬만 노트/네트웍 시스템

🧠 CSMA 신호 감지 기능

by jet132 2025. 4. 9.
728x90
반응형

좋아요! 아래는 Non-persistent CSMAp-persistent CSMA의 개념을 쉽게 비교하며 설명한 내용이에요. 고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구성했어요.


🧠 CSMA란?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 "지금 다른 사람이 말하고 있는지 먼저 듣는" 기술이에요.

즉,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가 비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어요.
그중 대표적인 두 가지가:

  • Non-persistent CSMA
  • p-persistent CSMA

🔍 1. Non-persistent CSMA

"바쁘면 나중에 다시 올게요!" 스타일

✅ 동작 방식

  1. 채널(네트워크)이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2. ❌ 만약 누가 말하고 있다면 → 아무것도 안 하고 일정 시간 기다림 (대기)
  3. 다시 와서 확인하고, 비어 있으면 전송!

✅ 특징

  • 충돌 위험 줄임 (동시에 보낼 확률 낮음)
  • ❗하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네트워크 효율 저하

📦 예시

친구 집에 갔는데 문이 잠겨 있으면 바로 돌아왔다가 나중에 다시 감.


🔍 2. P-persistent CSMA

"확률로 결정!" 스타일 (주로 무선 LAN에서 사용)

✅ 동작 방식 (보통 슬롯 기반)

  1. 채널이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2. ✅ 비어 있다면 → 확률 p로 전송
    → 확률 1-p로는 다음 슬롯까지 기다리고 다시 시도
  3. 충돌 발생 시, 백오프(backoff) 후 재시도

✅ 특징

  • p 값 조절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유연한 제어 가능
  • 무선 환경에서 효율적 (CSMA/CA와 유사한 흐름)

📦 예시

친구 집에 갔는데 문이 열려 있으면 확률 70%로 들어가고,
30%는 문 앞에서 1초 기다렸다가 다시 결정!


📊 비교 정리 표

항목 Non-persistent CSMA p-persistent CSMA

채널 사용 감지 O O
충돌 회피 방식 바쁘면 일정 시간 후 재시도 비어도 확률에 따라 전송
충돌 가능성 낮음 중간
대기 시간 길어질 수 있음 짧거나 조정 가능
효율성 낮을 수 있음 상대적으로 높음 (p 최적화 시)
사용 환경 주로 유선 LAN 주로 무선 LAN (Wi-Fi 등)

🧭 정리 한줄 요약

  • Non-persistent CSMA:
    📵 "바쁘면 나중에 다시 올게요."
    → 충돌 적지만 느릴 수 있음.
  • p-persistent CSMA:
    🎲 "지금 보낼지 말지는 확률에 맡긴다!"
    → 조절 가능하고 유연하지만, p 값 설정이 중요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