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꼬만 노트/네트웍 시스템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의 차이점

jet132 2025. 4. 2. 09:22
728x90
반응형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

  •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두 지점 간에 전용 물리적 회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전화 통화 같은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데이터를 작은 단위의 패킷(Packet)으로 나누고, 각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2. 특징과 차이점 비교

항목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연결방식 물리적 전용 경로 설정 논리적 경로 사용(전용 경로 없음)
자원 점유 통신 중 자원을 독점 자원을 공유하며 사용
전송 방식 전송경로 고정 각 패킷 별로 경로가 동적 변경 가능
전송 속도 일정하고 보장된 속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달라짐
신뢰성 높음 중간(패킷 유실 가능성 있음)
지연 시간 연결 설정 시간 존재하나 전송 시 일정 연결 설정 시간이 짧으나, 혼잡 상황에서 지연 발생 가능
효율성 낮음(자원 활용 비효율적) 높음(자원 활용 효율적)
사용 사례 음성전화, 화상전화 인터넷, 이메일, 파일 전송 등
대표적 프로토콜 전화망(PSTN, ISDN 등) TCP/IP, 인터넷

3. 장단점 정리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 장점: 품질 보장(음성 품질 안정성), 전송 지연 시간 일정
  • 단점: 자원 효율성 낮음, 확장성 부족, 비용 높음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 장점: 자원 효율성 우수, 네트워크 확장성 높음, 비용 절감
  • 단점: 패킷 손실 가능성 존재, 전송 지연 발생 가능

4. 활용 분야

  • 회선 교환은 일정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음성전화, 영상전화 등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 패킷 교환은 인터넷 브라우징, 이메일, 메시지 전송 등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각 통신 방식은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