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OSI 7계층이란 무엇일까?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는 네트워크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표준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설계나 문제 해결을 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
📚 OSI 7계층의 구조와 각 계층의 역할
아이콘 계층 명칭(영어) 주요 역할 및 프로토콜 예시 대표적인 장비
🌎 | 7 | 응용(Applica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HTTP, FTP, SMTP, DNS 등) | 웹 브라우저, 이메일 |
🔐 | 6 | 표현(Presentation) | 데이터 변환, 암호화, 압축 (SSL/TLS, JPEG, MPEG) | 암호화 장비 |
🔗 | 5 | 세션(Session) | 세션 연결 설정 및 유지 | API 서버 |
📦 | 4 | 전송(Transport)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TCP, UDP) | L4 스위치 |
🛣️ | 3 | 네트워크(Network) | 데이터 라우팅 및 IP 관리 (IP, OSPF, ICMP 등) | 라우터, L3 스위치 |
📡 | 2 | 데이터링크(Data Link) | 물리적 장치 간 데이터 전송 (이더넷, MAC 주소 관리) | 스위치, 브리지 |
🔌 | 1 | 물리(Physical) | 실제 신호 전송 (케이블, 허브 등) | 허브, 케이블 |
🔄 데이터 전송 과정 이해하기
OSI 모델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수신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 📤 송신 과정: 응용 계층 → 표현 계층(암호화 및 압축) → 세션 계층(세션 연결) → 전송 계층(세그먼트화) → 네트워크 계층(패킷화 및 IP 주소 추가) → 데이터링크 계층(프레임화 및 MAC 주소 추가) → 물리 계층(신호 전송)
- 📥 수신 과정: 물리 계층(신호 수신) → 데이터링크 계층(프레임 분석) → 네트워크 계층(패킷 분석 및 경로 지정) → 전송 계층(세그먼트 재조합) → 세션 계층(세션 관리) → 표현 계층(암호화 해제 및 압축 해제) → 응용 계층(데이터 최종 전달)
✅ OSI 7계층이 중요한 이유
OSI 모델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각 계층별로 구분하여 쉽게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이 모델을 이용해 어떤 계층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빠르게 판단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 분야를 공부하는 분이라면 꼭 이해하고 있어야 할 중요한 개념입니다.
728x90
반응형
'쪼꼬만 노트 > 네트웍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폴로지(Topology), 즉 네트워크의 연결 구조 (0) | 2025.04.02 |
---|---|
세그먼트(Segment)와 데이터그램(Datagram)의 차이 – 한눈에 정리! (1) | 2025.04.02 |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의 차이점 (0) | 2025.04.02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0) | 2025.04.02 |
라우팅의 모든 것 (0) | 2025.03.26 |